Spring boot72 레포지토리 만들기 - 3 학습 목표레포지토리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선언 방법과, 기본적인 CRUD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받기 위한 JpaRepository 상속 구조를 이해한다.JpaRepository의 역할과 계층 구조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JpaRepository의 상속 계층(Repository → CrudRepository → PagingAndSortingRepository → JpaRepository)과 각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이해한다.스프링이 레포지토리 구현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스프링이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런타임 시에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PostRepository 에 사용package com.example.de.. 2024. 10. 2. 블로그 엔티티 만들기 - 2 💡학습 목표기존의 MVC 레이어 기반 패키지 구조와 최근 도메인 중심 패키지 구조에 대한 개념을 말 할 수 있다. JPA로 엔티티를 생성시킬 수 있다. 블로그 테이블 구조 확인 스프링 부트와 JPA 프로젝트에서 패키지 구조를 구성하는 트렌드는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ign, DDD)의 원칙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이 보인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나누기보다는, 도메인 중심으로 나누어 애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려는 의도나 방식이다.(여기서 도메인은 애플리케이션이 해결하려는 특정 비즈니스 문제나 현실 세계의 문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좌", "고객", "거래"는 중요한 비즈니스 개념이며, 이것들이 바로 그 애플리.. 2024. 10. 1. 블로그 프로젝트 만들기 - 1 학습 목표1. REST API에 대한 개념과 주요 특징일 설명할 수 있다. 2. application-dev.yml 파일을 활성화해서 사용할 수 있다. REST API란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을 요청하고 조작하기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REST API는 주로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표준화 된 약속입니다.REST API의 주요 특징무상태성 (Statelessness): 각 요청은 독립적이며,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요청에는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2024. 10. 1. 단방향, 양방향 매핑에 대한 이해 JPA는 객체지향적 접근 방식입니다.SQL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간 관계를 정의하는 언어입니다. 테이블과 테이블의 관계는 외래 키를 통해 설정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점에서 관리됩니다. JPA는 객체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자바의 ORM(객체-관계 매핑) 기술입니다. JPA에서는 클래스와 객체를 사용해 테이블과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중요한 차이점은 SQL은 테이블 간의 관계를 직접 정의하는 반면, JPA는 객체지향적인 관계를 통해 테이블 간의 관계를 간접적으로 정의한다는 점입니다. gradle 확인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10'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 2024. 9. 30. 영속성 컨텍스트란?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란, 엔티티 객체들을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태를 동기화하는 일종의 저장소입니다.쉽게 말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엔티티 객체들을 임시로 보관해 두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이 공간에 있는 객체들은 "영속 상태"로 관리되며, 이 상태에 있는 동안 엔티티 객체의 변화는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됩니다.즉, 이것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고, 엔티티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핵심 키워드영속성 컨텍스트: 엔티티 객체를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하는 임시 저장소.영속 상태: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 데이터베이스와의 동기화가 이루어짐.추가적인 설명을 한다면 영속성 컨텍.. 2024. 9. 30. 엔티티 매니저에 대해 알아보자. JPA와 하이버네이트에 대한 기본 개념을 확인했다면 다음으로 엔티티 매니저와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자.학습 키워드 정리엔티티(Entity):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입니다.엔티티 매니저(Entity Manager): 엔티티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CRUD 작업을 수행합니다.엔티티 매니저 팩토리(Entity Manager Factory): 엔티티 매니저를 생성하는 팩토리로,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서 한번만 생성됩니다.코드 상에서의 엔티티 선언 형태@Entity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 2024. 9. 30.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